반응형
SMALL

3. 현금흐름표의 유용성

1) 현금흐름표의 작성 : 직접법, 간접법

간접법과 직접법

-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의 작성방법에 따라 간접법과 직접법으로 구분
투자 및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은 항상 직접법으로 작성

 

직접법(Direct Method)

- 영업활동에서 발생한 현금의 유입액과 유출액을 주요 항목별로 구분하여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흐름을 계산하는 방법

ex)

- 매출로 인한 현금유입액

- 매입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 급여 현금지급액, 임차료 현금지급액, 이자비용현금지급액

 

간접법(Indirect Method)

- 당기순이익을 계산하는 과정에서 영업과 관련 없는 거래의 결과 및 현금 유출입이 수반되지
않는 거래, 투자활동 및 재무활동에 속하는 거래의 결과들이 혼재되어 있음

 

- 당기순이익(NI)에서 출발하여 ( 현금흐름을 수반하지않는 거래와 / 현금유입, 유출의 이연 또는 발생의 효과제거 / 투자활동과 재무활동에 포함되는 거래의 효과를 제거)

 

-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을 계산

- 당기순이익(발생주의) →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현금주의)

 

2) 현금흐름표의 작성 : 직접법, 간접법

 

3) 간접법 예시

당기순이익 → 현금흐름

- 발생주의와 현금주의는 수익비용인식의 시기가 차이

- 그차이는 재무상태표 항목에 기재됨 ( 현금을 미리 받으면 "부채" / 나중에 받을 것은 "자산")

- 따라서 손익계산서 항목과 이에 대응하는 재무상태표 항목을 찾아 비교하면 현금유출입을 파악

 

ex) 매출로 인한 현금 유입액

- 1년 동안 상품을 파매, 현금으로 100만원, 외상으로 30만 원어치를 판매

- 손익계산서 : 매출액 130

- 재무상태표 : 매출채권 30 증가

- 현금흐름표 : 매출로 인한 현금유입액 100 = 매출액 130 - 매출채권변동분 30

 

ex) 현금유출이 없는 비용

: 감가상각비등

매년 1,000만 원은 실제 지출되는 현금이 아님

따라서 당기순이익에서 영업활동 현금흐름을
계산할 때 1,000만 원을 더해 줌

 

 

 

&회계는 보수주의가 원칙

- 영업활동에 의한 현금흐름보다 영업이익이 작은 것이 정상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지만 그 차이가 많지 않아야 함

- 추세를 살폈을 때 대부분의 경우 영업활동에 의한 현금흐름과

영업이익이 같은 방향으로 움직여야 함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은 정상적인 경우 (-)임 

계속해서 투자를 하는 기업만이 장기적으로 성장할 수 있음

 

 

&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이 안정적이어야함

 

 

5) 대우조선해양 2015 현금흐름표

- 당기순이익이 감소하고 있지만 영업이익은 2012년 이후에 큰 하락세를 보이지는 않음

- 그러나 영업활동현금흐름은 ( - ) 임

:: 실제로 현금이 유입되지 않고 있다는 의미

- 투자활동현금흐름도 ( - )인테 재무활동 현금흐름은 ( + )여서 부채나 자본을 조달하여
- 현금을 메꾸고 있는 상황임을 알 수 있음

:: 특히 자금조달의 대부분이 영업활동현금흐름이  ( - )인 것을 메꾸는 것에 사용되고 있음

- 매출을 많이 올렸다고는 하지만, 실제로는 현금이 들어오지 않는 상황

>> 외상매출과 같은 것이 잔뜩 있다는 의미

 

6) 참고 : 진행기준

단점

- 진행률에 대한 자의적인 판단으로 수익의 신뢰도가 떨어짐

- 진행률 판단에 대한 오류, 예상되는 원가가 예측 치보다 증가하여

계약금액을 초과하는 경우 갑작스러운 대규모 손실을 인식할 수 있으므로 유의

(조선업, 건설업 등)

- 총 예정원가가 과소평가되거나 공사진행 중 원가상승분을 적시에 반영하지 못하면

공사진행률이 왜곡

 

7) 현금흐름 분석

우량기업의 자금흐름

- 영업활동에서 창출된 현금흐름 범위 내에서 투자자원 조달

 

상장폐지사의 자금흐름

- 영업활동으로 창출된 현금의 5-6배를 투자활동에 사용

(재무활동에서 조달)

 

 

 

 

 

 

 

 

 

 

반응형
LIS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