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지 않는 컴퓨팅, 내재된 컴퓨팅과 같이 다양한 이름을 가지고 있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은 ‘Ubiquitous Computing(Ubicomp)’이라 명명되면서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줄여서 ‘Ubiquitous’로 통용되기도 한다.
유비쿼터스 컴퓨팅
사람을 포함한 현실공간에 존재하는 모든 대상물들을 기능적·공간적으로 연결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나 서비스를 즉시에 제공할 수 있는 기반 기술
⇒ 사물의 일부가 된 컴퓨터들은 주변 상황을 인식할 수 있고, 지리적으로 떨어진 곳에서도
사용자가대상 사물과 그 주변 환경의 변화를 지각하거나 추적할 수 있도록 함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특징
①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은 컴퓨터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이 아니다.
② 인간 중심의 인터페이스로서 눈에 보이지 않아야 한다.
③ 현실 세계의 어디서나 컴퓨터의 사용이 가능해야 한다.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개념적 기술전개 예측
①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② 유비쿼터스 기술의 인간 친화
③ 사용자에 최적화된 서비스 환경
④ 지능화된 사물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 이슈
① 복잡하고 방대한 결과에 대한 시각적 편리성을 지향하며, 정보서비스 제공이 구체화되어야 한다.
② 구체화된 컴퓨터의 운영체제, 응용 등에 대한 협력 작업과 분산 작업을 통한
효율적인 협력 시스템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 다양한 시스템들의 융합 컴퓨팅 모델이 제시되어야 한다.
③ 나노 기술이나 병렬 시스템 등의 기술을 통해 가상화나 클러스터링 기술을 통해
스마트폰이나 PC를 단말기로 사용하는 슈퍼컴퓨터 사용 환경을 제공한다.
④ 인터넷 통신 속도의 고속화, 안정성, 효율성, 광대역 채널의 확보를 통해
데이터나 컴퓨팅 능력면에서 보다 큰 스케일의 컴퓨팅 공간을 구축해야 한다.
⑤ 인간중심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도 하고,
개인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가 창출해야 한다.
Q1.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특징으로 틀리는 것은 무엇인가?
1. 모든 사물의 컴퓨터 내재화
2. 물리공간을 가상공간으로 이동
3. 모든 사물의 지능화
4. 사물들의 유기적 연결
Q2.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관심 분야로서 전자공간 사이의
좀 더 개선 된 결합의 모습을 추구하는 개념은 무엇인가?
1. 가시성
2. 복잡성
3. 추상화
4. 연결성
Q3. ( )은 1988년 PARC의 마크 와이저에 의해 " 사람을 포함한 현실공간에 존재하는
모든 대상물을 기능적 공간적을 연결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나 서비스를
즉시에 제공할 수 있는 기반 기술 " 로 정의되었다.
정답 : 유비쿼터스 컴퓨팅
'방송통신대학 > 유비쿼터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4. 디바이스 기술 -SoC/MEMS (0) | 2022.03.22 |
---|---|
3. 정리하기) 유비쿼터스 컴퓨팅 핵심 기술과 전망 (0) | 2022.03.21 |
1. 정리하기) 유비쿼터스 환경, 혁명, 공간, 유비쿼터스컴퓨팅 (0) | 2022.02.20 |
전자공간과 물리공간의 연계 (0) | 2022.02.19 |
공간의 발전 역사 (0) | 2022.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