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MALL
- 유비쿼터스환경
언제, 어디서나, 어떠한 통신 단말기를 가지고, 어느 정보통신망을 통해서든, 원하는 정보통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환경 - 유비쿼터스혁명
서로 이질적인 물리공간(제1공간)과 전자공간(제2공간)이 제3의 가치공간인 유비쿼터스공간으로 통합/진화되는 것 - 유비쿼터스컴퓨팅 개념을 토대로 하는 접근 방법
① 물리공간의 사물 이지미를 해석하여 사용자의 주변을 분석하고 주위의 특정 사물의 존재를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함
② 다양한 컴퓨터(칩, 센서, 태그, 구동체등)를 사물 속에 심고 이들을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물리공간의 상황을 사물과 사물, 사물과 컴퓨터, 컴퓨터와 사물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유비쿼터스공간(전자공간-물리공간)으로 인식함 - 유비쿼터스공간
만지지 않아도 공간에 존재하거나 공간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가 알 수 있는 ‘현실체가지능적으로 증강된 공간’으로인식함
유비쿼터스 공간 : 물리공간과 전자공간을 유기적으로 융합한 것
물리공간과 전자공간의 연계를 위한 관점
1. 사물 - 컴퓨터 - 사람의 네트워크 연결
2. 사물의 인식
3. 물리적 속성과 전자적 특성 간의 연계
**
전자공간과 물리공간의 연계는 “물리공간의 (가), 전자공간의 (나), 양쪽에 존재하는 (다)간의 제한 없는 통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며, 물리공간에 존재하는 장소, 사물, 사람의 물리적 속성에 대한 인식이 가능하고, 이러한 물리적 속성과 전자공간상의 전자적 속성이 양방향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기능 중심의 환경”이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이러한 환경을 유비쿼터스 환경이라고 한다.
(가) 사물( 센서/칩/태그), (나) 컴퓨터, (다) 사람
반응형
LIST
'방송통신대학 > 유비쿼터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4. 디바이스 기술 -SoC/MEMS (0) | 2022.03.22 |
---|---|
3. 정리하기) 유비쿼터스 컴퓨팅 핵심 기술과 전망 (0) | 2022.03.21 |
2. 정리하기) 유비쿼터스 컴퓨팅 개념과 주요 이슈 (0) | 2022.03.20 |
전자공간과 물리공간의 연계 (0) | 2022.02.19 |
공간의 발전 역사 (0) | 2022.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