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MALL

3. 포괄손익계산서 구성요소와 분석

1) 포괄손익계산서 구성요소

매출액 
- 물건과 서비스를 판매한 금액으로서 모든 것의 기본
- 매출액 정체나 감소는 우려 상황
- 매출액 변동이 심한 기업은 투자에 유의

매출원가와 판매관리비
- 물건의 제조, 구매, 서비스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원가는 매출원가
- 판매를 지원하는 업무와 일반적 관리비는 판매관리비

매출원가
- 상품의 매입, 제품의 제조와 관련 공장, 기계장치 감가상각비, 임대료. 

근로자 임금, 공장전기료 등은 제품을 만들기 위한 것이므로 매출원가
(예 : 현대자동차 공장에 발생하는 비용)

판매관리비 
- 본사 걸물 감가상각비, 임대료, 직원급여, 교통비, 전기료, 광고비 등은 

판매 및 일반적 관리를 위한 것이므로 판매관리비
(예: 현대자동차 본사 건물에 발생하는 비용)


영업외손익
- 주로 이자수익, 이자비용, 자산처분이익 등
- 이자 내역을 통해 금융비용 확인
- 금융 수익, 비용 + 기타 영업 외 수익, 비용

당기순이익
- 본업과 부수적 요인을 모두 고려한 이익창출력 요약


 

2) 포괄손익계산서 분석

매출액 → 영업이익 → 당기순이익

(→ 갈수록 변동이 심하고 예츨이 어려움)


- 유사동종기업과 비교, 과거 추이를 비교
- 구체적 원인, 경제적 상황 들을 종합적으로 고려

3) 감가상각비

물건을 사거나 서비스(교육, 의료, 컨설팅, 법률자문 등)를 구입하기 위해 지출

당기에 사용되어 없어지는 것은 '비용'으로 처리
→ 비용의 정이: 당기의 수익을 창출하기 위하여 희생된 자원

어떠한 지출이 장기적으로 수익을 창출
→ 이러한 경우 해당 지출을 바로 비용으로 잡지 않음
→ 이 부분은 자산으로 적고, 여러 해에 걸쳐서 비용으로 처리

- 즉, 여러 회계기간에 걸쳐서 사용할 것은 '자산'으로 기재하고 자산의 내용연수 동안 

일정 금액을 비용으로 처리(감가상각)

- 광고비와 같이 여러 기간에 걸쳐서 효과가 날 수 있는 것이라도 불확실하다면 '비용'으로 처리

- 지우개와 같이 여러 기간을 사용하는 것일지라도 금액이 작으면 '비용' 처리

 

 


4) 진행기준

- 일반적으로 판매시점에 수익을 인식

 

BUT
>> 건설, 수주산업 : 계약을 맺고 장기간 동안 건설하여 납품
Ex) 조선, 해양플랜트, 초고층 빌딩 등
>> 만약, 건설 중에는 매출 0, 인도 시에 매출 인식하면 수익변동 심함

 


- 수주사업은 사전 계약으로 시행하므로 판매가 보장되어 있어 판매 및 인도보다는 용역의 이행이 중요하게 됨

- 진행기준회계: 공사진행률에 따라 수익 인식

 


(단점)
- 진행률에 대한 자의적인 판단으로 수익의 신뢰도가 떨어짐
- 진행률 판단에 대한 오류, 예상되는 원가가 예측 치보다 증가하여 계약금약을 초과하는 경우 

갑작스러운 대규모 손실을 인식 할 수 있으므로 유의(조선업, 건설업 등)
- 총 예정원가가 과소평가되거나 공사 진행 중 원가 상승분을 적시에 반영하지 못하면 공사진행률이 왜곡

 

반응형
LIST

'프라임칼리지 > 기업과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6-2. 주식투자의본질, 채권투자의 본질  (0) 2020.12.02
6-1. 주식과 채권  (0) 2020.12.01
5-2. 포괄손익계산서  (0) 2020.11.27
5-1. 손익계산서의 이해  (0) 2020.11.26
4-3 비유동부채  (0) 2020.11.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