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MALL

학습목표
- 자산의 개념을 제시하고 예시를 들 수 있다.
- 자산의 대략적인 분류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 유동, 비유동자산의 의의와 이를 구성하는 항목들을 설명할 수 있다.
- 유형자산과 무형자산의 차이를 비교할 수 있다.

주요용어
자산

자산은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경제적 자원을 일컫는다. 

크게 유동자산(예: 현금, 단기금융상품, 매출채권, 재고자산 등)과 

비유동자산(토지, 건물, 기계장치, 무형자산 등)으로 구분한다.

유동자산

유동자산(Current Assets)은 일반적으로 현금 또는 1년 안에 현금화되거나 

사용될 자산을 의미한다. 유동자산이 많으면 그만큼 1년 내에 현금으로 

들어올 수 있는 금액이 많다는 의미이다.

비유동자산

비유동자산(non-current assets)은 1년 이상 장기간 사용될 자산을 의미한다. 

(장기)투자자산, 유형자산,투자 부동산, 무형자산 등이 비유동자산에 속한다.

무형자산

특허권이나 저작권과 같이 물리적 실체가 없어서 보고 만질 수는 없지만 

기업에 경제적 효익을 가져다주는 자산을 말한다. 


1. 자산의 개념

1) 자산의 의의

자산
-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경제적 자원 '
- 자산의 항목들은 기업이 가지고 있는 자원이 어떠한 형태로 존재하는지를 나타냄
- 기업이 가지고 있는 현금, 토지나 공장같은 부동산, 업무용 차량, 주식이나 

채권등에 투자한 것 등 여러 가지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음
- 외상값(매출채권)과 같이 돈을 받을 권리도 미래에 경제적 효익(돈을 받게 됨)을 가져오기 때문에 자산
- 캐릭터 사용권, 특허권과 같이 형체를 지니지 않은 권리도 자산(무형자산)

자산 계정의 유의점
- 기업은 자산이 많다고 과장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자산이 과도하게 장부에 잡혀있는지에 대해서 유의
- 반대로 기업의 빚인 부채는 적다고 과장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부채가 과소하게 장부에 잡히지는 않았는지 유의

유동자산 :
현금 또는 1년 안에 현금화되거나 사용될 자산
- 현금 및 현금성자산, 단기금융상품
- 단기매도가능금융자산
- 매출채권
- 재고자산
- 기타유동자산

비유동자산 :
1년 이후의 장기간 동안 사용될 자산
- 투자자산
- 유형자산
- 투자부동산
- 무형자산

반응형
LIS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