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목표
1. 가상 메모리의 개념과 주소 변환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2. 페이징 기법과 세그먼테이션 기법에서의 주소 변환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3. 요구 페이지 호출기법과 예상 페이지 호출기법을 설명할 수 있다.
4. 다양한 페이지 교첵기법들을 설명할 수 있다.
주요용어
가상주소, 페이징기법, 세그먼테이션기법, 동적 주소 변환, Belady의 이상현상, anomaly, 국부성, 워킹세트, 쓰래싱, theashing
7.1 가상 메모리(virtual memory)의 개념
가상 메모리는 컴퓨터 시스템의 메모리 크기보다 더 큰 기억 공간이 필요한 프로세스를 실행 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이다.
- 프로세스에 의해 참조되는 주소를 메모리에서 사용하는 주소와 분리
- 현재 필요한 일부만 메모리에 적재
사상(mapping)
- 프로세스 실행을 위해 가상주소를 실주소로 변환
- 동적 주소 변환(DAT) : 프로세스가 실행되는 동안 사상
- 인위적 연속성
: 가상주소 공간에서는 연속이지만 실주소 공간에서도 연속일 필요는 없음 ( ex. 가상주소 : 1, 2, 3 >>> 실 주소 2, 1 ,3 )
7.2. 블로 단위 주소 변환
동적 주소 변환(DAT) 방법은 가상 메모리에서의 위치가 현재 메모리의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나타내는 주소 변환 사상표(address translation mapping table)를 유지하여야한다.
블록 단위 주소 변환
- 블록 단위로 분류하여 각 블록이 메모리의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관리
- 블록의 크기
: 작으면 사상정보 ↑, 크면 블록 전송시간 ↑, 및 적재할 프로세스 수 ↓
블록 구성 방식에 따른 분류
- 페이징 기법 : 블록의 크기가 동일한 페이지로 구성
- 세그먼테이션 기법 : 블록의 크기가 서로 다른 세그먼트로 구성
7.2.1 페이징 기법
페이지와 페이지 프레임
- 가상 메모리를 고정된 크기의 블록인 페이지 단위로 나누어 관리
- 메모리 영역도 페이지와 동일한 크기의 블록인 페이지 프레임으로 나눔
페이지 사상표
- 가상주소를 실주소로 동적 변환하기 위해 필요
- 가상주소의 페이지 번호에 대한 실 주소의 페이지 프레임 번호를 저장
직접 사상 : 페이지 사상표를 직접 이용
연관 사상 : 연관기억장치에 저장한 연관 사상표를 이용
* 연관 기억 장치 : 저장된 값으로 데이터를 액세스하는 고속 메모리 장치
2020/04/23 - [방송통신대학/운영체제] - 9강 제7장 가상메모리 (#개념,#페이징, #세그먼테이션)
9강 제7장 가상메모리 (#개념,#페이징, #세그먼테이션)
** 기말고사 대비용 / 개인 요약 학습목표 1. 가상 메모리의 개념과 주소 변환에 대하여 설명 할 수 있다. 2. 페이징 기법과 세그먼테이션 기법에서의 주소 변환 과정을 설명할 수 있따. 3. 요구 페�
3catpapa.tistory.com
2020/04/24 - [방송통신대학/운영체제] - 9강 제7장 가상메모리 (#혼용기법 #페이지호출기법)
9강 제7장 가상메모리 (#혼용기법 #페이지호출기법)
7.2.3 페이징 / 세그먼테이션 혼용 기법 페이징 / 세그먼테이션 혼용기법은 세그먼테이션 기법의 논리적 장점과 페이징 기법의 메모리 관리 측면의 장점을 활용 가상메모리를 세그먼트(s) 단위 >>
3catpapa.tistory.com
'방송통신대학 >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NUR, 2차 기회 , 클럭 페이지 교체 (0) | 2020.07.09 |
---|---|
페이지 교체 기법, FIFO, LRU, LFU (0) | 2020.07.08 |
메모리 분할, 동적 분할 (0) | 2020.07.06 |
프로세스와 메모리 분할, 고정 분할 (0) | 2020.07.05 |
교착상태 회피 알고리즘 (0) | 2020.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