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3 페이징 / 세그먼테이션 혼용 기법
페이징 / 세그먼테이션 혼용기법은
세그먼테이션 기법의 논리적 장점과 페이징 기법의 메모리 관리 측면의 장점을 활용
가상메모리를 세그먼트(s) 단위 >> 페이지 단위(p)로 분활 ,
메모리는 페이지 프레임으로 분할
(세그먼트 사상표에 저장된 주소는 페이지 사상표의 시작 주소 , 실주소 x)
가상주소 v = (s , p , d )
v = 가상 주소, s 세그먼트 번호 , p 페이지 번호 , d 블록 내 변위
동적 주소 변환의 예
가상주소 ( 3 , 7 , 8 ) 일때 , (세그먼트 번호, 페이지번호 , 변위 d )
연관 사상표가 있을떄 실주소를 찾는 방법은
세그먼트 번호 3 과 페이지 번호 7 을 연관 사상표에 대조하여, 페이지 프레임 값인 5를 찾을수있다.
그래서, 실주소는 ( 5, 8 ) 인걸 알수있다.
만약에 연관 사상표가 없다고 하면,
세그먼트 사상표의 시작 주소 b 에서부터 가상주소 ( 3, 7 ,8) 을 참조하여,
1.세그먼트 사상표의 b + 3 (시작 b + b에서 떨어진 3만큼) 위치에서
(1 -> 2) s' (페이지표의 시작주소) 값을 알수있다.
다시, 2. s' (페이지표의 시작 주소 ) 와 7 를 참조하여 페이지 사상표에서 페이지 플레임 값 5 를 알 수 있다.
3. 이렇게 하면 실주소값 ( 5, 8 ) 을 알수 있으면
다시 역으로 4.연관 사상표를 만들 수 있다.
7.3 페이지 호출 기법
페이지를 어느 시점에 메모리에 적재할 것인가를 결정
7.3.1 요구 페이지 호출기법
요구 페이지 호출기법 (demand page fetch strategy) 이란
한 프로세스의 페이지 요구가 있을 때 요구된 페이지를 메모리로 이동 >> 오버헤드를 최소화
프로세스의 실행 순서는 정확히 예측될 수 없기 때문에 명령어나 데이터가 실제로 참도되면
해당 페이지를 메모리에 적재하는 방식
1. 페이지 c가 필요한 시점이지만
2. 메모리에는 c 에 대한 페이지가 부재가 발생하면
3. 페이지 c 를 메모리에 적재
7.3.2 요구 페이지 호출기법
- 현재 요구되지는 않지만 곧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페이지를 미리 메모리로 이동
- 실제 필요한 시점이 되었을때 프로세스 실행이 단절되지 않음
▪ 요구 페이지 호출기법
• 옮길 페이지를 결정하는데 오버헤드를 최소화
• 메모리에 옮겨진 페이지는 모두 프로세스에 의해 실제로 참조된 것임
• 프로세스 시작 시점에는 프로세스 진행에 따라 연속적으로 페이지 부재 발생 (성능 저하)
▪ 예상 페이지 호출기법
• 예상이 잘못된 경우 메모리 공간 낭비
• 프로세스 시작 시점에 적용하면 성능이 개선됨
9강 정리하기
- 가상메모리는 메모리크기 보다 더 큰 기억공간을 사용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 프로세스에서 사용되는 가상주소는 동적 주소 변환을 통해 메모리의 실주소로 변환된다.
- 연속적인 가상주소가 실주소 공간에서도 연속적일 필요는 없다.
- 페이징 기법은 페이지라는 고정 크기 블록 단위로 기억장치를 관리한다.
- 세그먼테이션 기법은 모듈화에 따른 논리적 의미에 부합하는 다양한 크기의 세그먼트 단위로 기억장치를 관리
- 요구페이지 호출기법은 페이지가 필요한 시점에 메모리에 적제한다.
- 예상 페이지 호출기법은 앞으로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페이지를 미리 메모리에 적재한다.
'방송통신대학 >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3강 제 3강 스케줄링 알고리즘 (0) | 2020.04.27 |
---|---|
2강 2장 프로세스 개요 (0) | 2020.04.24 |
9강 제7장 가상메모리 (#개념,#페이징, #세그먼테이션) (0) | 2020.04.23 |
1강 1장 운영체제의 개요 (0) | 2020.04.23 |
운영체제 기말 시험 문제(정답 포함) (0) | 2020.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