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MALL

u-헬스(Ubiquitous Health)는 정보통신과 보건의료를 연결하여 언제, 어디서나 예방, 진단 치료, 사후 관리의 보건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기존의 보건의료가 병원 중심의 진료라면, u-의료는 공간적 제약을 넘어 생활과 진료 공간을 자연스럽게 결합시켜 일상 속에 보편적으로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현대에 들어 보건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센서에 대한 기술적 발전에 힘입어 u-헬스는 크게 각광받고 있으며 많은 발전을 이룩했다.

 

 

1. u-헬스
- 의료 환경을 환자 중심으로 변화시키는 측면에서 정보화 기술이 적용됨
- 다양한 통신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환자, 의료기관, 정보기관 등의 유기적 통신 연결을 통하여 환자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함

 

2. u-헬스 시스템
- 환자의 최적의 치료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시스템
- 각종 센서 네트워크와 생체 센서로 병원에 입원하지 않아도 병원에 있는 것처럼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는 맞춤형 의료 서비스

 

3. u-헬스의 특징
- 안전성과 적시성 : 환자의 상황에 맞는 최적의 보건의료 서비스를 적시에 안정적으로 제공함
- 효율성과 효과성 : 보건의료 제공자와 환자에게 문제 상황에 대한 인지시간과 발생 비용을 최소화함
- 보건의료 이용자 중심성 : 병원이나 치료 공간 중심의 의료 행위에서 건강한 시민이나 지리적인 특성을 갖는 환자를 중심으로 의료 환경이 환자의 물리적 위치 중심으로 변화함
- 균형성 : 환자에 대한 건강 상태의 모니터링-예방-치료-사후 관리의 균형적인 관리에서 발생되는 의료행위의 제공

 

4. u-헬스 핵심 기술
- 환자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기술
- 생체 정보의 유통/관리/분석 기술
- 개인의 의료정보에 대한 보안 기술

 

5. 생체신호 센서의 부착 위치에따른 분류 기준
- 착용형 센서(Wearable Sensor)
- 환경 센서(Environment Sensor 또는 Ambient Sensor)

 

 

Q1. u-헬스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무엇인가 ?

1. 생체 센서를 통해 생체신호를 수집하는 부분과 수집된 생체신호를 분석하는 부분, 분석결과에 따라 환자 및 관련자들에게 암호화된 결과를 보내는 부분 등으로 구성된다.
2. 생체신호의 분석은 의사 및 의료정보 전문가 시스템이 함께 관여한다.
3.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의료 정보도 반드시 암호화되어 저장된다.
4. 환자의 개인적 의료 기록과 의사의 판단만으로 생체신호의 분석 과정이 진행된다.

 

Q2. u-헬스의 핵심 기술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 

1. 생체신호 전송 모니터링 기술

2. 생체신호 측정기기 기술

3. 생체신호 측정센서 기술

4. 생체신호 저장 기술

 

 

Q3. u-헬스에서 환자의 상황에 맞는 최적의 보건의료 서비스를 적시에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은 무엇인가 ?

1. 효율성과 효과성

2. 보건의료 이용자 중심성

3. 안전성과 적시성

4. 균형성 

 

반응형
LIS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