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MALL
상황인식 컴퓨팅 기술은 여러 센서들로부터 얻은 상황정보를 응용서비스에 적합하게 처리하고,
사용자의 현재 상황에 가장 적합한 서비스를 찾아내어 이를 동적으로 재구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주변에 편재된 컴퓨터들이 제공해주기 위해서 사용자 및 환경에 대한 동적인 모델을 수용하고 센서를 통해 상황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기술을 공부한다. 또한 환경 정보를 지능적으로 판단하고, 가공한 후, 적절한 서비스로 제공해주는 과정을 이해한다. 마지막으로 상황을 정보로 모델링하는 상황정보 표현 기술을 공부한다.
- 상황인식 컴퓨팅(Context-Aware Computing)
실세계에서 획득한 상황정보를 추상화하고 연계하여 상황정보를 지식으로 만들고, 응용 분야에 적합한 지식 표현을 기반으로 사용자와 서비스를 연계하는 응용 기술 - 상황인식 기술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한 요구사항
- 상황에 대한 이해 : 상황정보의 선택 / 활용방법 / 상황인식 행위의 결정을 지원해
- 상황과 관련된 기술 구조에 대한 이해 : 응용 서비스의 구축을 지원해줌 - 상황(또는 상황정보, Context)의 정의
- 상황인식을 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 정보
- 실세계에 존재하는 실체의 상태를 특징화하여 정의한 정보
- 사용자의 상황을 특징지을 수 있는 정보 - 상황의 분류
- 컴퓨팅 상황(Computing Context)
- 사용자 상황(User Context)
- 물리적 상황(Physical Context) - 상황인식 시스템의 구성
- 클라이언트 기기
- 상황인식 시스템
- 상황인식 모델 - 상황인식 응용 개발 도구 기술
- 상황정보의 추상화(Abstraction) 기술
- 상황정보의 해석(Interpretation) 기술
- 유사한 상황정보의 수집(Aggregation)기술 - 상황인식 서비스 요소 기술
- 상황정보 수집 기술
- 상황정보 모델링 기술
- 상황정보 추론 기술
- 상황정보 관리 기술
Q1. 실세계(Real World)에 존재하는 실체 (Entity)의 상태를 특징화하여 정의한 정보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
1. 유비쿼터스 공간 정보
2. 증간공간
3. 현실 정보
4. 상황
Q2. 태그, 속성, 내용을 계층구조의 재귀적 형태로 상황정보를 표현한다. 이 모델은 간단하고 유연하며 구조화되어 있고 편재되어 있는 컴퓨팅에 적합한 상황정보모델은 무엇인가 ?
1. 마크 업 기반 모델
2. 온톨로지 기반 모델
3. 키-값 기반 모델
4. 상황 감성 기반 모델
Q3.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이나 XML 기반 프로토콜같이 센서나 장치, 대상 객체와의 상호작용을 지원하기 위해 이벤트 기반 또는 폴링 기반의 통신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기술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1. 상황정보 교환 기술
2. 상황정보 관리 기술
3. 상황정보 추론 기술
4. 상황정보 표현 기술
반응형
LIST
'방송통신대학 > 유비쿼터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 유비쿼터스 시대의 정보보호 필요성과 요구사항 (0) | 2022.04.14 |
---|---|
11.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 (0) | 2022.04.13 |
9.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0) | 2022.04.11 |
8. 정리하기) RFID (0) | 2022.04.10 |
바코드, RFID 비교/분류 (0) | 2022.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