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MALL

01. HTML 이란?

Hyper Text Markup Language

- 웹 World Wide Web에서 사용하는 마크업 언어

: 인터넷 상에서 사용되는 웹페이지의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언어

 

하이퍼텍스트

- 다른 텍스트에 대한 참조(“링크“)를 가진 텍스트

: 단위 텍스트들과 이것들을 결합하는 링크로 구성

- 사용자가 연상하는 순서에 따라 관련 있는 쪽으로 이동하여 정보를 얻도록 조직화된 시스템

 

 

마크업

mark + up 합성어

- "태그" tag

- 문서의 구조와 내용 등에 추가적인 정보를 부여하기 위해 문서 내에 삽입되는 일련의 문자 또는 기호

 

마크업 언어

- 마크업의 형식과 규칙을 정의한 언어

- 마크업 언어의 분류 

** 절차적 procedural 마크업 언어

** 기술적 descriptive 마크업 언어

 

 

마크업 언어의 분류

절차적 마크업 언어

- 문서의 형식이나 텍스트의 외양을 기술

- 워드프로세서에서 사용

- “특정 specific 마크업 언어“ 호환성 문제

 

기술적 마크업 언어

- 문서의 논리적인 구조 정보 및 속성을 표현

- SGML, HTML, XML 등

- "범용 generalized 마크업 언어" → 응용프로그램/시스템에 독립적

 

 

SGML

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

- 이기종 장치 및 시스템에 독립적으로 전자 텍스트를 표현할 수 있는 국제 표준 마크업 언어(ISO 8879)

 

- GML(1960 후반)의 영향

: 문서의 구성 요소의 시각적인 표현에 대한 고려 배제

→ 문서 구조 정의와 내용 작성에 집중

 

- 매우 강력한 표현력 → 문법과 구성이 너무 복잡

: 언어의 습득과 응용 시스템 구현의 어려움

: 특수 분야(군사, 우주, 항공 등)에 제한적으로 사용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 SGML로부터 필요한 기능만 뽑아서 새롭게 정의한 언어

** XML ⊂ SGML

 

- 사용자에 의한 임의의 태그 정의가 가능

** 확장성 → 사용 목적과 용도에 맞는 문서 작성이 가능

 

- HTML과 달리 문서의 논리적 구조를 정의하는 언어

** 문서 내용이 어떤 구조로 조직화되어 있는 지에 대한 정보를 태그로 표현

→ 문서 내용의 용이한 이해 및 명확한 전달 가능

 

HTML 은 SGML 에 파생된 언어

 

 

HTML이란?

- 웹페이지를 작성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언어

 

HTML의 특징

1. W3C에 의한 웹 문서의 표준

- 수정/관리 용이, 웹 접근성 향상, 브라우저 등의 호환성 확보

 

2. 마크업 언어

- 파일 용량이 작아 클라이언트-서버 간의 빠른 문서 전달 가능

 

3. 일반적인 텍스트 파일

- 별도의 전용 프로그램이 아닌 간단한 편집기로도 작성 가능

 

4. 컴퓨터 시스템과 운영체제에 독립적

- 텍스트 문서 → 다양한 시스템/브라우저에서도 사용 가능

 

 

HTML의 단점

1. 웹 문서의 내용(외양) 표현에 집중

- 문서 내용의 의미 정보를 표현하는데 한계

 

2. 구조화된 정보의 표현과 검색의 어려움

- 정보의 구조화 및 데이터 간의 연과성 표현의 어려움

 

3. 사용 가능한 태그가 정해져 있음 제한적인 태그

- 사용의 편의성, BUT 융통성 및 확장성의 결여

 

4. 문서의 유효성 검증과 제약조건 정의의 어려움

- 내용이 구조화되지 않아 정확성/유효성 검증의 어려움

 

1991년 팀 버너스-리 개발 → 2014년 HTML5 권고안 발표

▶ 특징 → 웹 문서 표준, 마크업 언어, 일반적인 텍스트 파일, 컴퓨터 시스템 및 운영체제 독립적

 

 

HTML 서비스의 구성 및 처리 과정

 

반응형
LIS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