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 라파듈라모델 |
비바 모델 |
|
개념 | BLP 모델은 기밀성을 강조하는 수학적 모델로 시스템 보안을 위한 규칙 준수 규정과 주체의 객체 접근 허용 범위를 규정하고 있다. 정보의 불법적인 파괴나 변조보다는 불법적인 비밀 유출 방지에 중점을 둔 모델이다. | BIBA Integrity 모델은 주체들과 객체들의 무결성 계층에 기반하여, 수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변경문제를 다룬 모델이다. BLP 모델이 정보의 기밀성에 중점을 두기 때문에 부당하게 변경되는 정보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모델이다. |
특징 |
1. 정보의 기밀성 보호에 중점을 둔 최초의 수학적 모델이다. 2. 주체와 객체의 보안 수준을 등급으로 구분하여 강제적 접근제어(MAC) 정책을 적용한 모델이다.
|
1. 정보의 무결성 보호에 중점을 둔 최초의 수학적 모델이다. 2. BLP 모델의 단점인 무결성을 보완한 모델이다. |
보안 특성 |
1. SS property(단순보안특성) : No Read Up a. 보안 수준이 낮은 주체(S)는 보안 수준이 높은 객체(O)를 읽어서는 안 되는 정책이다. b. 주체의 등급이 객체의 등급보다 높거나 같을 경우에만 그 객체를 읽을 수 있다.
a. 보안 수준이 높은 주체(S)는 보안 수준이 낮은 객체(O)에 기록해서는 안 되는 정책이다. b. 주체의 등급이 객체의 등급보다 낮거나 같을 경우에만 그 객체를 기록할 수 있다.
a. 접근 권한 수정에 관한 정책이 없다. b. 은닉 채널(covert channel)을 포함할 수 있다. c. 기밀성은 유지되지만 무결성은 파괴될 수 있다(Blind Write가 발생). |
1. Simple Integrity Axiom(단순무결성특성) : No Read Down a. 보안 수준이 높은 주체는 보안 수준이 낮은 객체를 읽어서는 안 되는 정책이다. b. 주체의 등급이 객체의 등급보다 낮거나 같은 경우에만 그 객체를 읽을 수 있다.
a. 보안 수준이 낮은 주체는 보안 수준이 높은 객체에 기록해서는 안 되는 정책이다. b. 주체의 등급이 객체의 등급보다 높거나 같을 경우에만 그 객체를 기록할 수 있다. |
'방송통신대학 >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세스 간의 통신IPC, Interprocess Communication (0) | 2020.06.23 |
---|---|
프로세스의 상호협력 (0) | 2020.06.22 |
4강 4강 병행프로세스 1 (0) | 2020.04.28 |
3강 제 3강 스케줄링 알고리즘 (0) | 2020.04.27 |
2강 2장 프로세스 개요 (0) | 2020.04.24 |